본문 바로가기
멸종위기 동물

대왕판다의 특징, 무슨동물, 멸종상태

by wow!! - 정보가 쏙쏙 2023. 7. 19.

아시아의 멸종 위기 동물 대왕판다

커다란 덩치, 까맣고 둥근 귀, 마치 까만 선글라스를 낀 것 같은 눈 주위의 반점이 너무나 귀여운 대왕판다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멸종 위기 동물'입니다. 또 세계 최대의 자연보호단체인 '세계자연보호기금(WWF)'의 상징이자, 중국에서는 '나라의 보물'로 불릴

만큼 아주 소중한 동물입니다. 그런데 새로 태어나는 새끼 판다의 수가 너무 적어서, 언제 멸종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대왕판다의 모습

대왕판다의 특징

분류 : 포유류 식육목 곰과     

길이 : 1.3~1.7m

무게 : 100~125kg                 

어깨높이 : 51~64cm

새끼 수 : 보통 1~2마리         

수명 : 25~30년

먹이 : 대나무 잎, 죽순, 아주 가끔 작은 동물

사는 곳 : 중국

앞발 : ㄴ자 모양의 길쭉한 손목뼈와 툭 튀어나온 뼈가 있어서 대나무 줄기를 잡고 잎을 잘 떼어낼 수 있어요.

털 : 까맣고 흰 얼룩무늬 때문에 1901년까지만 해도 '얼룩곰'이라고 불렸어요. 덕분에 숲 속 나무 사이에 몸을  숨기기 좋습니다.

눈 : 대왕판다는 중국에서는 '슝마오'라고 불리는데, 이 말은 '커다란 고양이 곰'이라는 뜻이에요. 눈동자가 고양이처럼 밤에는 동그랗다가, 낮이 되면 세로로 길쭉하게 변합니다. 

이빨 : 주로 대나무를 먹지만, 원래는 육식 동물이라서 앞쪽에 날카로운 송곳니가 나 있습니다. 하지만 안쪽에  나있는 어금니는 동물의 살보다는 풀을 씹어 먹기에 더 좋습니다. 

대왕판다는 육식동물일까요, 초식동물일까요?

대왕판다만큼 입맛이 특이한 동물은 또 없을 겁니다. 대왕판다는 육식을 하는 식육목 동물이면서도 거의 대나무만 먹고삽니다. 사실 대나무는 대왕판다에세 썩 좋은 먹이는 아닙니다. 영양가도 별로 없는 데다가, 대왕판다는 소화기관이 육식동물과 비슷해서 대나무의 주요 성분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못한답니다. 그래서 큰 몸집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최대 38kg의 대나무를 먹어치웁니다. 대나무는 대왕판다 식단의 99% 이상을 차지합니다. 그들은 강한 턱과 이빨을 가져 단단한 대나무를 먹도록 적응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주로 대나무를 먹도록 진화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육식동물이고 육식동물에 속합니다. 그런데 대나무 숲이 점점 사라지면서 판다의 수도 점점 줄어 들었습니다. 1970년대에는 겨우 2년 사이에 무려 138마리의 판다가 굶어 죽은 일도 생겼답니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대왕판다에게 대나무를 대신할 수 있는 좋은 먹이를 주고, 아픈 곳은 없는지 살뜰히 보살피고 있습니다.  대왕판다는 독특한 검은색과 횐색 때문에 즉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하얀 얼굴, 눈과 귀 주위에 검은 반점, 그리고 어깨와 등 주위에 검은 띠를 가지고 있는 반면 그들의 몸의 나머지 부분은 하얀색입니다. 그들은 둥근 얼굴과 크고 검은 테를 가진 다부진 몸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왕판다는 왜 멸종 위기 상태가 되었을까요?

 대왕판다는 번식이 아주 느립니다. 7살이 지나야 새끼를 낳을 수 있는 어른이 되는데, 그 뒤로도 3~4년마다 한 번씩만 새끼를 낳습니다.  게다가 한 번에 4마리까지 낳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보통 1마리만 낳고 기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숲의 나무를 베고 논과 밭을 만들면서, 대왕판다의 생활이 어려워졌습니다. 또 사람들은 판다의 털가죽과 고기를 매우 비싼 가격에 팔기 위해서, 몰래 사냥을 하기까지 했습니다. 그 결과 새로 태어나는 수보다 사라지는 수가 훨씬 많아져서 멸종 위기 상태가 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중국 정부가 자연보호구역을 늘리고 정성껏 보살핀 덕분에, 2015년에는 야생 대왕판다의 수가 1,864마리로 늘었답니다.  회색곰은 힘센 턱과 이빨,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북아메리카의 무시무시한 사냥꾼입니다. 사실 곰과의 진정한 '대왕'은 대왕판다가 아니라 회색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몸무게가 판다보다 4~5배는 더 무겁습니다. 대왕판다는 하루에 최대 16시간을 먹이를 찾거나 먹는 데 사용합니다. 앞발바닥에 있는 기다란 손목뼈 덕분에 대나무를 잘 움켜쥘 수 있습니다. 신선한 대나무 잎을 먼저 따 먹은 다음, 줄기에  있는 거친 껍질을 벗겨냅니다. 그러면 폭신한 부분이 나옵니다. 이것을 어금니로 부지런히 씹으면, 소화시킬 수 있을 만큼 부드럽게 변한답니다.